본문 바로가기

정리노트

[신사임당]30만원으로 30억만든 돈깡-주식투자 실패하는 이유

요약: 주식시장은 내일도 열린다. 조급해 하지 말자. 소액으로 시작하자.

1. 주식 입문기:

한 종목에서 1~2% 내외로 매일 수익을 내려고 노력함 변동성 안에서 복리를 취하는 것이 자산 증식의 지름길이었음

2. 주식 시작하는 분들은 어떤 투자자가 될지 고민한다

1) 가치투자자 2) 스윙투자자 3) 데이트레이더 (직장인들이 많기 때문에 1) 아니면 2) 가 된다.)

내가 가치투자자(or 스윙투자자)가 되기로 마음 먹었으면, 그 길을 꾸준히 걸어야 한다.

3. 내가 어떤 거래를 할 것인지에 대해 확실하게 정해야 함.

(시작하고 1~2년 뒤에는 본인의 스타일을 알게 되기 마련)

4. (본인의 투자 스타일) 어떤 종목에 관심이 몰릴 것인지에 주목하고 들어간다.

"재무 분석을 할 시간이 없다"

5. 나의 평생 모은 돈이 10~20% 요동치면, 마음이 너무 흔들린다

-> 던지지 말아야 할 때 던진다.

(감당하지 못할 그릇에 물을 너무 많이 담으면 안됨. 조급하지 말자.)

6. 11년 동안 매일 거래하면서 살아남은 사람으로서, 이 시장이 매우 어렵고, 살아남기도 힘들다는 것을 말하고 싶음.

(투자로) 돈을 조금 벌었다고 해서 쉽게 직업을 바꾼다거나 투자자의 삶을 살 결정을 하지는 않기를 바람. ★(조급하지 말자)

7. 수 년 동안 직장생활 해서 힘들게 번 돈을, "이거 좋대" 라는 말 한마디에 너무 쉽게 (몇 천만원을) 넣는 사람이 많다.

신념이 없는 상태에서 거래를 반복하면,

원점으로 수렴하기 마련 3천만원을 넣고 싶으면, 3백만원으로 먼저 portfolio를 만들어 봐야 한다.

(어차피 깡통 찰 거다. 소액으로 시작하자.)

8. ★★오르는 주식에 투자하려고 한다면, 적어도 이유는 알고 사자.

나 혼자 생각하고 판단하여 사지 말고, 적어도 어떤 이유 때문에 오르는지 알고 사자.

이유가 논리적이고 배경이 탄탄해야 주식이 잘 오른다.

*종목을 조금이라도 공부하려면 여러 자료들이라도 공부하자. (예: 한경컨센서스)

9. 본인의 매수 기준 중에 하나: 인기가 많은 주식이지 않아도, 하나의 익숙한 종목을 따라다니며 거래

(변동성의 규칙을 이해 할 수 있는 종목)

10. 마지막으로, 주식 시작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지금은 특수한 상황이다.

10년에 한 번 오는 마켓에서 급등/급락이 있는 것은 일종의 noise 이다. 다음 번 기회를 위해, 다시 천천히 step 을 밟아 나가는 자세를 갖추면 좋겠다. 이런(요즘과 같은) 시장은 언젠가 또 올 것이고,

그 때를 위해 고민하고 공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