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무원연금] 조기수급과 공적연금 연계제도에 관해 공무원은 아무래도 일찍부터 시작해서 늦게까지 장기간 근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경우, 연금의 조기 수급에 대해 많이들 궁금해하실 것 같아요. 아무래도 민원이 많고 수직적인 체계의 업무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기수급과 또 그 이후 연계연금에 대해서도 아시나요? 연계제도도 곧 없어질 수 있는 제도 중 하나이기 때문에, 국민연금+공무원연금을 둘다 내신 적이 있으시다면 한 번 알아보세요! -나이가 어린 공무원이라도 가입기간을 충족하고 2021년까지 퇴직하면 향후 60세 연금수급이 가능합니다. 만약 퇴직 후 경제활동을 하며 국민연금에 가입 ‘연계연금’을 신청하면 국민연금 개시연령인 65세에 5년치 공무원연금을 일시불로 받게 됩니다. (5년동안 공무원 연금을 수령하지 못 했기 때문입니다.) (≪.. 더보기 [공무원연금] 개정 건강보험료 - 내가 들어야 하는 종신보험은? 예전에 올려드린 포스트에, 1. 유니버셜이 붙은 종신보험 중 2. 10년납인데 3. 목돈을 1년동안 제한없이 입금할 수 있는 상품 을 알아보시라고 올려드렸습니다. 제가 설명들은 바로는 현재 3번이 가능한 보험은 1개만 남아있기에 저도 들었었지만, 아직 사회초년생이고 현재의 현금흐름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고민 끝에 해지했었습니다. 하지만, 퇴직을 앞두신 공무원 분들에게는 괜찮은 상품일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현금이 재산으로 잡힌다면 매달 내야하는 건강보험료가 더 많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물론, 알고계셔야 할 것은 보험은 사망 시 보장을 위한 종신보험이고 (목적이 저축성이 아님!! 그런 용도는 부가적 활용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혹시, 나의 2억 현금 계좌로 만들려고 한다는 목적이어도, 가입시.. 더보기 [공무원연금] 바뀌는 공무원연금, 건강보험료 제도에 관하여!! 최근 개정되는 건강보험료, 공무원연금에 관한 연수를 듣고 작성합니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려요. 수정하겠습니다. 연금은 과세대상입니다. 공무원 연금 비율은 6->7->9%로 계속해서 인상돼왔죠. 연금을 받으시는 분들은 확정세율이 높기 때문에, 그 어떤 재산이라도 본인 명의로 되어있을 경우, 세율을 높이 두드려맞게 됩니다. 퇴임하시는 분들의 경우, 약 34%정도라고 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연금이 개시되면, 건강보험료는 지역가입자가 됩니다. 기존에는 피부양자로 0원의 건보료였습니다. 1년 공적연금 총액이 4천까지, 연금이외의 다른 소득(근로, 사업, 임대 포함)을 포함해 1억 2천만원이 되면 건보료는 냈습니다. 하지만, 개정된 후에는 공적연금총액 2천만원까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