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리노트

[김미경tv][정리노트]과연 경제 전문가들도 삼성전자 주식을 샀을까? 코로나 시대, 투자 성공하는 방법은? - (f. 김동환, 박석중)

1. 주식 해야되나요?

-김: 금리가 너무 낮아요. 라떼는~ 10~15%,

지금은 성장이 안 돼요. 부의 축적의 길이 없어졌어요. 어려워도 어차피 가야합니다.

 

2. 주식은 무엇이에요?

-김: 큰 의미의 동업이에요. 내 맘대로 정한다는 점에서, 개인 사업보다 좋을 수도 있어요.

공부하는 사람이 많아서, 이제 다른 지평이 열릴 것입니다.

 

-박: 한국은 75%가 부동산이에요. 금융자산은 90%는 예금이고요.

지난 시간동안 해외는 금융 등 버블이 많이 껴서 이익을 많이 보았는데, 이런 비중으로 인해 한국은 더 오르려고 해도 못 올랐어요.

 

3. 코로나라는 키워드와 주식시장은?

-김: 코로나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모멘텀을 줄 것 같아요. 이런게 갈 것이다, 이건 필요하지 않아요.

명확한 대안이 필요해요.(책참고 ㅜㅜ 보고싶어요 궁금해요!!ㅜ)

 

-박: 2가지. 세계화의 역행// 언컨택트의 두각

큰 위기에는 반드시 큰 기회가 만들어집니다.

언컨택트 관련 산업이 얼마나 성장할 지도 봐야해요.

 

김: 앞으로는 트렌드를 선도하는 기업에 다녀야 부를 얻을 수 있을 것

비대면: 신유통/ 교육/ 엔터/ 핀테크/ 디지털 헬스케어, 5G, 뉴딜: 산업자동화/신재생에너지/인프라, 중국

 

5. 부를 어떻게 이루나요?

김: 1.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 알아야. 자기가 싫어하는 것도 봐야한다.

2. 경제를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아라.

3. 일단 투자를 할 것.

   푼돈으로 투자하지 마세요. 목표금액의 1/10으로 시작하세요. 나머지는 안 쓰고, 안 입고 모으세요.

이 트렌드는 최소 10년으로 봅니다.

 

박: 예금성 자산을 줄여야 합니다.

1%금리에 물가상승률 2%면, 내 자산은 줄어든겁니다.

또, 달러대비 수익률을 생각하면 -입니다.

 

 

6. 마지막으로?

김: 물건을 사지 말고, 그 회사를 보세요. 주식투자는 전체 자산의 일부로 평생 해야합니다. 어차피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하셔요.

박: 한국투자는 방역으로 더 인정을 받았어요.

외인은 한국=반도체로 봐요. 코로나 이후로 반도체는 반드시 올라간다고 보기 때문에, 한국도 올라갈 것이라고 봅니다.

 

 

 

 

김프로님은, 주식 펀더멘탈 등 어떤 마인드를 가져야 하는지

박프로님은, 외국인들 입장에서 한국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 우리가 어떤 통찰력을 가지면 좋을지 의 측면에서

 

보고 많이 코멘트를 주는 것 같다.

다른 신과함께 유투브 채널이나, 영상 등을 찾아보며 더 공부해보시길 추천드리는 두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