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문 스크랩

[한국경제신문]3.9(월)기사모음-타다금지법, 코로나 경제위기?, 테크시대, 요즘의 투자법 1. 타다 금지법 타다에 찬성하는 쪽은 택시 서비스 불만이다. 실제로 밤에 번화가에서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택시는 찾기 어렵다. 작년에는 강남역에서 밤에 공유경제인 씽씽이를 이용했던 기억이 있다. 반대하는 쪽은 택시와 비슷한 정도로 규제가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타다는 근로자들을 프리랜서로 처리하여 4대보험 등의 의무를 지지 않고, 자율주행을 위한 데이터 수집을 하는건 아닌지 의심이 든다. 이는 타다 서비스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처우개선도 중요한 문제인것 같다. 2. 코로나, 경제위기? 블룸버그는 코로나가 세계적인 대유행을 불러일으켜 세계 경제성장률이 0.1%에 그칠 것이라 전망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3096.. 더보기
코로나와 유가 WTI 유가에 관심을 가지고 계속 지수 체크를 하던 나날.. 코로나의 여파로 전 세계 생산량이 감소하자 석유 수요도 감소하여 유가가 떨어졌다. 하지만 여기서 더 떨어질지 아닐지 판단하기 위해 요즘 좀 더 기사를 유심히 보고 있었다. 이 와중 최근 유가 관련 여러 이슈가 있었다. 총 3가지 기사인데, 투자자의 관점, 그리고 코로나를 고려하여 나는 어떤 스탠스를 취하면 좋을 것인가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다. 1. 러시아의 감산 거부 14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떨어진 가운데, 러시아가 감산합의 연장에 실패한 것이 악재였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https://www.news1.kr/articles/?3865755 [원유마감] WTI 10% 폭락…산유국 원유 감산 연장 실패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더보기
[한국경제신문] 2.29 (토) 한전적자, 코로나 추경, 미국 증시 폭락, 국민연금 10%룰 해제, 전셋값 상승, 신천지, 쓱배송, 배달로봇 1. 한전적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22840321 관련기사가 3개일 정도로 최악의 상황. 이유는 원전이용 감소와 과도한 채용/학교설립 등. 기사가 나온 이유는 전기요금 인상의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혹은 원전이용률 80%를 만들려는 노력?(적자만회) 무튼 정부정책이 흑자 성과급 파티하던 한전을 부채 184%의 적자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한전 주주로서 주주배당도 없고, 15퍼 이상 떨어진 주가가 안타깝다. 방어주로 산건데 정부가 아무리 공기업이라지만 기업의 성격과 주주의 이익을 이렇게 무시한다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1조3566억…한전, 11년 만에 최악 적자 -1조3566억…한전, 11년 만에 최악 적자, 작년 원전 이용 줄어.. 더보기
[한국경제신문] 2.26 수 주요기사모음 - 코로나 재택근무, 성수3지구 등 1. 코로나 관련 -이제 중국인이 '러시, 중국행 항공권값 7~8배 급등수요가 증가, 공급은 유지이기 때문에 항공권값이 올랐다. -재택근무 수요 증가-삼일회계법인, 삼성, 현대차, sk, lg 등1위. 시스코 무료2. MS 마이크로 소프트. 스카이프-보안/첨부문서 용량-과금 3. 네이버 - 텍스트 투 스피치 AI4. 카카오 - '아지트' - 업무용 메신저, 문서공유, 전자결재5. 삼성SDS - '녹스미팅' - 화상회의 솔루션 6. 알서포트 - '리모트미팅' - 원격화상회의, '리모트뷰' - 원격지 PC 제어7. 구루미 - '온라인오피스 서비스' - 업무공유, 출근시간 체크8. 미국 '슬랙' - 업무채팅, 문서공유, 결제9. 토스랩 - '잔디' - 한국판 슬랙. 20만곳 이상 기업 고객 확보 -추경은 어디.. 더보기
[한국경제신문] 2.22 주요기사모음 - 코로나 농산물, 추경, 인프리아, 포토레지스트, 재정/통화정책, 드론방역 -중국 물류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아, 중국산 농산물 수입량 67% 감소 ->공급이 줄면 가격이 오름. 식자재는 수요가 크게 늘지 않기 때문. 따라서 식자재값 크게 오름.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알 수 있다. 국산의 원가는 10배. 관련 기업은 cj프레시웨이 삼성웰스토리 아워홈 등. 식품업계의 원가 상승, 주가 하락? 혹은 품귀현상으로 인한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 이런 농산물 가격 관련해서는 국제식품물가지수를 확인하면 된다. 중국도시 정상화->식품수요 급증(외식을 예전보다 더 많이하기 때문) ->수출용 농산물이 금방 늘어나긴 어려워보인다. 2월 중국 내 식품물가상승률 15.2% 소비자 물가지수 5.4%의 3배 전염병 시 식료품 물가가 오를 수 밖에 없다. 수요는 동일한데 공급이 줄고 원가가 상승한다면 물가는.. 더보기